본문 바로가기
생활 팁!!

청년도약 계좌를 알아보자 (feat.희망 적금 비교)

by 균팡 2023. 3. 20.

23년도 6월에 출시되는 청년도약 계좌 22년도 희망 적금 출시 후 나오는 상품이다. 

먼저 희망 적금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희망 적금

최대 6%의 금리로 최대 납입액인 50만원을 2년 동안 유지한다고 가정하면 총납입액 50*24=1,200

즉 1,200만원의 목돈과 저축장려금 36만원 이자 소득세는 0원, 최대 금리 6%까지 하면 약 1,310만원의 목돈이 마련된다.

개인별로 상이하지만 거의 5%의 금리를 유지한다고만 해도 1,300만원을 가져갈 수 있다.

 

 

 

도약 계좌

23년 6월에 출시되는 청년도약 계좌 가입 대상은 희망 적금과 동일 하게 만 19세~34세 청년이다.

개인소득은 6,0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23년도 중위소득 기준은 2인 가구 경우 월 소득 586만원 이하 4인 가구 경우 월 소득 921만원 이하이다.

납입금의 경우는 최대 70만원, 희망 적금보다 20만 높고 납입 기간도 3년 길게 5년, 추가로 기여금 지급도 정부에서 지원을 해주는데 조건이 좀 이상하다.

개인 소득 기준으로 3~6%를 지원해 주는데, 제일 높은 2,400만원 이하의 경우 6%, 제일 낮은 6,000만원의 경우 3% 뭔가 이상하지 않은가?? 연봉 2,400이면 월급 200만원 세금 떼고 하면 180만원 정도 거기에서 70만원 적금 무려 5년 동안 아직 출시되지 않았지만 이러한 적금을 장기로 과연 가져갈 수 있을지 의문이다. 희망 적금도 버거워서 해지하는 사람이 많은데 잘 끌고 갈 수 있는 청년들이 몇 이나 있을까?

그리고 1년 주기로 심사하여서 기여금 지급 여부와 기준이 조정된다고 한다.

 

그리고 해지한다면 사유는 아래와 같다.

1. 가입자의 사망 또는 해외 이주 

2. 가입자의 퇴직

3. 사업장의 폐업

4. 천재지변

5.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6. 생애 최초 주택구입

 

위의 사유가 충족이 하나라도 된다면, 비과세 혜택과  기여금 지급이 가능하다.

금리의 경우는 3년 동안은 고정금리 2년은 변동금리로 적용, 자세한 금리 수준은 발표되어야 알 수 있겠다.

말로는 5,000만원 목돈을 만들 수 있어서 좋아 보이지만 현재 금리폭등인데, 5년 동안 유지할 수 있을까??

 

희망 적금을 진행하고 있는 청년들은 만기 후에 가입이 가능하다고 한다.

또 한 청년 내일 저축 계좌와 청년 내일채움 공제랑 동시 가입이 허용된다고 합니다.

 

저 역시 희망 적금도 하고 있지만 1년 남은 지금도 월 50만원 때문에 힘이 들고 내년 만기 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도약 계좌 아직 정확하게 확실하게 나온 내용은 없지만 5년 동안 70만원씩 저축 묶어두어서 목돈 만들 좋은 기회라고도 하지만 반대로 희망 적금도 버거운 현실에 맞는 선택인가 싶기도 하다. 

조금 더 지켜보고 추후 발표될 내용에 관심을 갖는 게 우선인 것 같다.

 

 

   

 

댓글